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SW중심사회

SW·AI산업
'2021 4차 산업혁명 지표'
  • 디지털 전환을 위한 인프라 구축
    • 디지털 전환의 핵심 인프라로서 데이터‧네트워크‧인공지능(D.N.A.) 분야의 확장이 지속되고 있음
    • (데이터 : D) 디지털 뉴딜의 핵심 산업인 ’데이터‘ 산업의 전 체 시장규모는 19조2,736억원(’20(E))으로 전년 대비 14.3% 성장하였으며,공공데이터 개방 건수는 55,561건(‘21.3)으로 전년 대비 63.4% 증가하여 데이터경제 활성화를 위한 기반을 제공하고 있음
    • (네트워크 : N) 사물인터넷(IoT) 서비스 가입수*는 3,098만개로(‘21.6월) 전년 대비 18.8% 증가하였고, 인터넷동영상서비스(OTT) 이용률은 ’19년52.0%에서‘20년66.3%로 14.3%p 늘어나 정보통신기술(ICT)기술 발달과 코로나 19 이후 국민생활의 변화 모습을 보여주고 있음
    • *원격검침 + 사물간 통신(M2M) + 홈네트워크 가입 수
    • (인공지능 : A) 인공지능 분야 성과 확산 추진 등에 따라 인공지능 산업 매출액은 6,895억원(‘20(E))으로 전년 대비 16.3% 성장하였고, 보다 고도화된 인공지능 개발을 위한 인공지능 학습용 데이터 활용 횟수도 전년대비 153.4% 늘어난 96,826회를 기록 (’21년 8월 기준, 누적)
  • 디지털 전환기 유망산업의 성장
    • 4차 산업혁명 디지털 대(大)전환 과정에서 인터넷기반자원공유(클라우드),가상증강현실(VR/AR)등혁신성장을 주도할 미래 유망산업이부각되고있음
    • (클라우드) 디지털 경쟁력의 마중물인 클라우드 산업 매출액은 3조 3천억원(‘19년 기준)으로 전년 대비 13.8% 성장하였고, 개인의 클라우드 이용률은 ‘19년 30.8%에서 ’20년 35.3%로 4.5%p 증가하여 클라우드 활용이 보다 범용화되고 있음을 보여줌
    • (가상증강현실 : VR/AR) 가상증강현실(VR/AR)산업의 매출액(‘20년(E) 8,032억원, 전년대비 6.8%↑)과 참여 종사자(’19년5,940명, 전년대비 10.6%↑) 모두 성장세를 기록, 확장가상세계(메타버스)의 부각과 더불어 가상증강현실(VR/AR)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이에 따른 산업 규모도 점차 확장되는 추세
  • 디지털 혁신 성과 확산
    • 데이터‧네트워크‧인공지능(D.N.A.) 분야의 확산과 유망산업의 등장은 경제 전반에 걸쳐 활발한 디지털 혁신의 기반이 되고 있으며, 국민의 삶에 체감이 되는 가시적 성과도 뚜렷해지고 있음
    • (교육) ‘20년 기준 학생의 온라인교육 이용률(98.9%)은 전년 대비 37.1%p 상승하여 코로나 19 이후 비대면의 일상화에따른 온라인 교육의 활용도가 사회 전반에 걸쳐 빠르게 증가
    • (디지털격차) 일반국민 대비 취약계층 디지털 정보화 수준은 72.7%(’20)으로전년대비 2.8%p 상승하여, 디지털격차가 완화되는추세로나타남
    • (금융) 인터넷 전문은행의 성장, 간편결제 서비스의 보편화는 금융기술(핀테크)로 대표되는 정보통신기술(ICT) 기반 금융산업의 혁신을 보여줌
      • -인터넷 전문은행 계좌 수는 3,103만개(’21.3월 기준, 전년 대비29.3% ↑), 고객 수는 1,807만명(전년 대비 36.2%↑)으로 모두 증가
      • -간편결제‧간편송금서비스 이용실적(일평균)은 8,057억원(‘20년 기준)으로 전년 대비 46.0% 대폭 증가
    • (정부) 전세계 디지털 전환 도래에 발맞추어 정부에서도 공공분야의 디지털 전환을 선도적으로 추진하고 있음
      • -국민의 편의성을 높이기 위해 제공되는 전자정부서비스의 이용률은 88.9%(‘20)로 전년 대비 1.3%p 상승하였고, 지속적인 디지털정부 추진을 통해 디지털정부 종합지수 1위(’20,OECD), 디지털경쟁력 지수 8위(’20, IMD) 등 유의미한 성과를 달성
    • (이동체) 정보통신기술 기반 산업의 새로운 성장 전환국면(모멘텀)인 무인기(드론)의 기체 신고대수는 26,035대(‘21.6)로 전년 대비 96.7% 증가하였고, 자율주행자동차 대수 또한 136대(’21.3)로 전년 대비 46.2% 증가하여 정보통신기술에 기반한 이동수단의 혁신이 뚜렷해지고 있음
    • (의료) 의료기관 간 진료정보 전자교류 참여병원 수(누적)는 6,497개소(’21.3)로 전년 대비 49.7% 증가함에 따라, 의료기관 간 환자의 진료정보* 교류가 확대되어 환자의 편의성을 높이고 있음
    • * 진료정보교류에 동의한 환자의 진단, 투약 등 진료기록 및 CT, MRI 등 영상 정보 등
    • (시티/교통) 국민들의 삶의 질을 높이는데 이바지할 주요 국도 디지털도로망(ITS)도 ‘21.12월까지 2,170km 추가 구축할 계획
    • (제조) 제조업의 디지털 혁신을 선도하는 지능형공장 수는 19,799개(’20.12월 기준)로 전년 대비 56.4% 증가
‘4차 산업혁명 지표’ 개요
  • 혁신성장을 위한 사람 중심의 「4차 산업혁명 대응계획*」에 따라 ’19년부터 성과지표를 발굴·선정하여 발표하고 있으며, 이번 ‘2021 4차 산업혁명 지표’가 세 번째 발표임
  • *4차 산업혁명 대응계획 발표(21개 부처, 4차위 제2차 회의 ‘17.11.30)
  • ※(지표 선정) 전문가 자문회의(’21.7월), 부처·관련 기관 등 의견수렴(‘21.7월∼9월)을 거쳐 기존 지표 중 최신 기술·시장동향을 고려하여 지표를 선정하고, 유망 신산업 분야 신규 발굴·선정
이 자료에 대하여 더욱 자세한 내용을 원하시면 과기정통부 정보통신산업정책과 김미정 주무관(☎044-202-6228)에게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2021년 4차 산업혁명 추진 관련 지표(43개)
(기준일: 지표별 별도 표시)
※ 좌우 스크롤 시 추가적인 내용이 있습니다.
구분 지표 조사값 조사값소관기관
2019 2020 2021 증감률
1. 디지털 전환을 위한 인프라 구축 (11개 지표)
데이터 데이터산업 시장규모 15조 5,684억원
(2018)
16조 8,582억원
(2019)
19조 2,736억원(2020(e)) 14.3% 과기정통부
데이터직무 인력 82,623명
(2018)
89,058명
(2019)
101,967명
(2020)
14.5% 과기정통부
공공데이터 개방 건수 28,932건
(‘19.3)
33,996건
(‘20.3)
55,561건
(‘21.3)
63.4% 행정안전부
네트워크 IoT 기기 서비스 가입수 2,144만개
(‘19.6)
2,607만개
(‘20.6)
3,098만개
(‘21.6)
18.8% 과기정통부
5G 지원 스마트폰 가입자수 191만명
(‘19.7)
786만명
(‘20.7)
1,708만명
(‘21.7)
117.3% 과기정통부
5G 데이터 사용량 44,951TB
(‘19.7)
201,227TB
(‘20.7)
432,265TB
(‘21.7)
114.8% 과기정통부
OTT서비스 이용률 42.7%
(2018)
52.0%
(2019)
66.3%
(2020)
14.3%p KISDI
인공지능 AI 학습용 데이터 활용 횟수(누적) 16,919회
(2019)
38,208회
(‘20.8)
96,826회
(‘21.8)
153.4% 과기정통부
인공지능 매출액 5,293억원
(2018)
5,928억원
(2019)
6,895억원
(2020(e))
16.3% 과기정통부
인공지능 분야 인력 10,577명
(2018)
11,147명
(2019)
14,736명
(2020(p))
32.2% 과기정통부
인공지능 분야 기업 - - 933개
(2020)
- 과기정통부
2. 디지털 전환을 주도할 유망산업의 성장 (6개 지표)
클라우드 클라우드 서비스 이용률(개인) 30.2%
(2018)
30.8%
(2019)
35.3%
(2020)
4.5%p 과기정통부
클라우드 서비스 이용률(기업) 17.2%
(2017)
22.7%
(2018)
23.5%
(‘19.12)
0.8%p 과기정통부
클라우드 산업 매출액 2조 4천억원
(2017)
2조 9천억원
(2018)
3조 3천억원
(2019)
13.8% 과기정통부
가상증강현실(메타버스) VR/AR산업 매출액 6,295억원
(2018)
7,518억원
(2019)
8,032억원
(2020(e))
6.84% 과기정통부
VR/AR산업 인력 4,596명
(2017)
5,373명
(2018)
5,940명
(2019)
10.6% 과기정통부
가상증강현실 기술 개발활용 기업 수 105개
(2017)
149개
(2018)
179개
(2019)
20.1% 통계청
3. 디지털혁신 성과확산 (26개 지표)
총론 4차산업혁명 기술 개발 및 활용 기업 수 1,014개
(2017)
1,500개
(2018)
1,711개
(2019)
14.1% 통계청
4차산업혁명 관련 융복합 분야 특허출원 건수 601건
(2018)
1,027건
(2019)
1,263건
(2020)
23.0% 특허청
벤처기업 중 비대면분야 비율 - 20.5%
(‘20.12월 기준)
20.6%
(‘21.6월 기준)
0.1%p 중기부
의료 의료기관 간 진료정보 전자교류 참여병원 수 2,316개소
(2019.3)
4,339개소
(2020.3)
6,497개소
(2021.3)
49.7% 보건복지부
디지털 헬스케어 특허 출원건수 3,609건
(2018)
3,968건
(2019)
5,300건
(2020)
33.6% 특허청
제조 스마트 공장 수(누계) 7,903개
(‘18.12월)
12,660개
(‘19.12월)
19,799개
(‘20.12월)
56.4% 중기부
3D프린팅 기술 개발 활용 제조기업 수 89
(2017)
133
(2018)
147
(2019)
10.5% 통계청
이동체 자율주행자동차용 정밀도로지도 구축 1,741km
(2019.3)
6,700km
(2020.3)
18,370km
(~‘21.12)
174.2% 국토부
드론 조종자격 취득자 수 19,613명
(‘19.3월)
32,667명
(‘20.3월)
50,398명
(‘21.3월)
54.3% 국토부
드론 기체 신고대수 9,342대
(‘19.6월)
13,234대
(‘20.6월)
26,035대
(‘21.6월)
96.7% 국토부
자율주행자동차 대수 62대
(‘19.3월)
93대
(‘20.3월)
136대
(‘21.3월)
46.2% 국토부
금융 인터넷전문은행 계좌 수 /가입자 수 계좌수 : 1,600만개
고객수 :989만명
(2019.3)
계좌수 : 2,400만개
고객수 : 1,327만명
(2020.3)
계좌수 : 3,103만개
고객수 : 1,807만명
(2021.3)
계좌수:29.3%
고객수:36.2%
금융위원회
핀테크 업체수 302
(‘18.12월)
345
(‘19.12월)
484
(‘20.12월)
40.3% 금융위원회
간편결제‧간편송금서비스 이용실적 (일평균) 3,274억원
(2018)
5,517억원
(2019)
8,057억원
(2020)
46.0% 한국은행
시티/교통 스마트시티 확산(스마트시티통합플랫폼 사업 참여 지자체,누적) 49개
(2019)
108개
(2020)
108개
(2021)
- 국토부
지하공간 3차원 통합지도 구축 25개 市(시)
(‘15년~’19년)
52개 市(시)
(~‘20년 말)
85개 市(시)
(~`21.12)
63.5% 국토부
주요 국도 디지털도로망(ITS) 구축(누적) 775km 4,188km 6,358km
(~‘21.12)
51.8% 국토부
교육 온라인교육 이용률 - (전체) 24.6%
(학생) 61.8%
(2019)
(전체) 35.6%
(학생) 98.9%
(2020)
(전체)11.0%p
(학생)37.1%p
과기정통부
국공립 교원양성대학 미래교육센터 설치(개소) - 10개
(2020)
18개
(2021)
80.0% 교육부
정부 전자정부서비스 이용률 87.5%
(2018)
87.6%
(2019)
88.9%
(2020)
1.3%p 행안부
디지털경쟁력 지수(IMD) 14위
(2018)
10위
(2019)
8위
(2020)
2위 ↑ NIA,
디지털정부 종합지수
(OECD)
- - 1위
(2020)
- 행안부
OECD 공공데이터 평가지수 1위
(2017)
- 1위
(2019)
- NIA,
정부 인공지능 준비지수
(Oxford Insight)
- 26위
(2019)
7위
(2020)
19위 ↑ NIA
디지털접근 취약계층 디지털 정보화 수준 68.9
(2018)
69.9%
(2019)
72.7%
(2020)
2.8%p 과기정통부
웹 접근성(전체 업종 평균) - 53.7점
(2019)
60.7점
(2020)
7점 과기정통부
교원 로그인
아이디
비밀번호
신청결과 확인
닫기
반려사유
닫기